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시대의 문화현장

⓬디지털 면역력

by 뽀키2 2023. 7. 6.

글쓴이

나는 내심 디지털 시대를 장밋빛 시대로 여기는 사람에 속한다. 많은 곳에서 경계의 메시지를 만나지만, ‘그 정도는 예상했고, 헤쳐 나갈 필요가 있다’고 여긴다. 비유하자면, 고층아파트에 살면서 엘리베이터를 탐탁잖게 여기는 이상한 만용, 디지털 땜에 못 볼 꼴 많이 본다는 사람들과 뭐가 무서워 장 못 담그냐는 사람들의 서로 다른 생각들, 아직도 연필로만 원고를 쓴다는 아름다운(?) 고집 등을 우습게 여긴다.

특히 디지털로 가는 배에 오를 수밖에 없다는 걸 알면서도, 디지털시대의 문화현장을 예감해보는 입장에 서면 부추기고 말릴 일들이 적지 않다는 걸 느끼게 된다. 문화예술의 현장에서는 감염도, 치유도 빠를 것이라는 은근한 믿음이 있다. 디지털에 대해 가지는 막막함, 그것으로 비롯되는 막연한 불안감. 표현하고 평가받는 방식에 도무지 감동이 따라주지 않을 것 같은 허전함을 이기지 못할 때, 그런 것이 병리적 현상으로 여겨질 것이다.   

이제 디지털로 비롯되는 병리학적 현상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먼저, 아직은 그냥 구세대들이 불평하는 말에 머물고 있지만. ‘디지털 중독’은 지나친 시간을 디지털 경험에 할애하는 경우를 경계할 때 흔히 듣는 말이다. 그리고 ‘디지털 포비아’는 ‘디지털 혐오’를 말하는데, 디지털에 비정상적으로 집착해서, 도리어 혐오를 표출하는 경향을 말한다. 개인적으로는 회피성 인격장애를 말하지만, 집단적으로는 19세기초 영국에서 일어난 러다이트(Luddite)운동과도 일맥상통하는 현상이다. ‘테크노 포비아’와도 비슷해해서, ‘일반적으로 산업화, 자동화, 컴퓨터화 또는 신기술에 반대하는 사람’으로 변해간다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아노미’상태에 빠지면 심각한 무력감에 빠지며 심하면 극단의 선택도 서슴지 않는다고 한다. 

다음은 디지털치매. ‘디지털 치매’는 너무 많은 정보를 디지털 기기에 의존하다 보니 기억력 감퇴, 사회성 결여 등을 보이는 현상으로, 라틴어의 ‘de(아래로)’와 ‘mens(정신)’에서 유래한 치매(dementia)는 ‘정신적 추락’을 뜻한다. 2004년 국립국어연구원의 신조어에 오를 정도로 이미 우리 사회에서도 익숙한 ‘디지털 치매’는 디지털 세상으로 질주하는 우리에게 큰 경종을 울린다. 독일 울름대 정신병원장인 만프레드 슈피처 (Manfred Spitzer)가 제안하는 디지털 치매 예방법은 ‘친구 세 명과 함께하는 저녁은 SNS에서 300명과 가상접촉을 하는 것보다 우리를 훨씬 행복하게 만든다’는 아날로그식이다.

 

 

이 정도는 가벼운 감기기운 같은 걸 수도 있다. 맹렬하게 덮쳐오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런데, 걱정스러운 것은 ‘인터넷이 우리를 ‘얕고 가볍게’ 만든다‘고 주장하는 IT 미래학자 니콜라스 카(Nicholas G. Carr)의 책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The Swallows)>을 읽고 나서 였다. 그는 2008년 <애틀랜틱Atlantic>에 발표한 ‘구글이 우리를 바보로 만드는가’라는 글에서 ‘인터넷이 깊이를 잃어버린 지식을 양산한다’며 디지털 시대에 경고의 메시지를 전했다. 디지털시대에 그는 인간이 오히려 덜 스마트해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생각 없음’이라는 한 마디로, 거부할 수 없는 문명인 인터넷과 스마트기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우리의 지식과 사고능력을 스스로를 지켜나갈 수 있는지 크게 시사하고 있다. 

그 ‘생각 없음’은 다른 전문가에게는 ‘멍청함’으로 변해간다. ‘디지털은 어떻게 미래를 위태롭게 만드는가’라는 부제가 붙은 <가장 멍청한 세대>를 쓴 마크 바우어라인(Mark Bauerlein. 美 에모리대학 교수)은 ‘‘가장 멍청한 세대’는 풍요로운 물질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지적 성취와는 거리가 멀고, 많은 기술 향상에도 불구하고 정신발전은 보잘 것 없는 세대로서의 요즘 젊은이들을 의미 한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처럼 젊은이의 삶이 순조로웠던 시대는 없었지만, 젊은 세대들은 정작 지적인 문제에 부딪히면 뭐든 잘 알 것 같은 당당함은 사라지고 말 거라고 전망한다. 또한 이토록 많은 기술의 발전을 겪고도 이토록 보잘것없는 정신발전을 이룬 이들이 없었기 때문에 작가 필립 로스(Phillip Roth)가 2000년 『휴먼 스테인』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가장 멍청한 세대’라는 표현을 인용해서 개탄하는 것이다. 우리는 디지털시대에 상속받은 특권을 누릴 자격이 없는 세대로 기억될 것인가, 위대한 유산을 영원히 잃어버린 세대로 기억될 것인가. 

만프레드 슈피처 독일 울름대 정신병원장&#44; IT 미래학자 니콜라스 카&#44; 美 에모리대 교수 마크 바우어라인&#44; 소설가 필립 로스&#44; 세계적 마케팅전문가 데이비드 와인버거
▲(왼편에서부터) 만프레드 슈피처 독일 울름대 정신병원장, IT 미래학자 니콜라스 카, 美 에모리대 교수 마크 바우어라인, 소설가 필립 로스, 세계적 마케팅전문가 데이비드 와인버거


이런 디지털 시대가 흐르면 ‘이런 시대가 온다’고 말하는 영화이야기 하나를 덧붙인다. <이디오크러시(idocracy)>(2006). idiot과 cracy의 합성어로 한마디로 ‘바보들의 정부’를 말한다. 첨단 디지털 시대 빅브라더에게 사육당하는 인간을 풍자하는 영화다. 생각이 없으니 종속당하면서도 지배하고 있다고 착각한다. 디지털 디스토피아는 이미 시작됐다.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말이 떠오르게 만드는 영화다.

요즘, 어떤 불길함이 느껴지고, 어떤 증후군에 시달리고들 계시는지.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지는 않으신지. 디지털 공간은 더는 우리 생활과 괴리된 가상의 공간이 아니다. 이미 우리의 현실적 삶의 일부분이다.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디지털화된 사회에서 디지털 공간을 마음껏 향유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디지털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건강한 디지털 공간의 구축을 위해서는 디지털 공간 이용자들의 면역력 충전이 필수적이다. 

유수의 언론에서 최고의 마케팅 구루로 극찬한 데이비드 와인버거 (David Weinberger)의 말에 생각이 머문다. ‘지식의 수평적 확산이 왜 지식의 위기를 가져왔단 말인가?’ 오래도록 고민하고픈 대목이다. 

댓글